'상위 20%의 상품이 전체 80%의 매출을 차지한다'라는 말로 잘 알려진 80:20 법칙은 이미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일반적인 황금률로 적용되고 있다. 이 파레토 법칙을 이용해 상품개발 예산을 책정하는가 하면 상위 20%에 대한 로열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또는 나머지 80%에 대한 디마케팅을 고려하는 등 마케팅 부문에서도 알게 모르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날(2004.10) 갑자기 이렇게 소소하기에 무시당했던 80%의 니치들이 롱테일(Long Tail)이라는 신조어로 새로운 가치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롱테일이란 용어는 멱함수(Power Law)에서 꼬리 부분을 길다고 해서 붙혀진 단어로 이미 파레토 꼬리(Pareto Tail)로 불리워지고 있었지만 여기에 크리스 앤더슨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시키며 롱테일이란 이름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Wired, 2004.10)

롱테일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온라인이오프라인에 비해 재고, 유통비용이 적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서점은 한정된 매장 공간에 책을 진열해야 하기 때문에 잘 팔릴 만한 상위 20% 위주로 책을 전시하게된다. 물론 큰 서점은 상품구색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서적들을 손닿기 힘든 곳에 꽂아두지만 여전히 재고 및 유통비용은 커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온라인에서는 이런 비용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빛을 못 보던 책들이 오히려 유통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렇게 해서 아마존(Amazon)은 전체 매출의 50% 이상이 오프라인에서 판매되지 않는 책들이라고 한다.

아마존 외에도 이베이(eBay), 넷플릭스(Netflix) 등도 롱테일 케이스로 많이 언급되지만 이와는 다른 모습으로는 구글 애드센스(AdSense)도 많이 언급된다. 기존 대형 광고주 위주의 광고시장에서 기회를 못 보던 소형 광고주들에게 구글 애드센스는 저렴한 광고 기회를 제공받았고 결국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구글 애드센스는 구글 전체 매출의 50%를 이끌어주고 있다. 이렇듯 아마존이나 구글은 기존 원리대로라면 80%의 롱테일 영역의 매출기여가 20%여야 하는데 50%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것이다.

 

'상위 20%의 상품이 전체 80%의 매출을 차지한다'라는 말로 잘 알려진 80:20 법칙은 이미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일반적인 황금률로 적용되고 있다. 이 파레토 법칙을 이용해 상품개발 예산을 책정하는가 하면 상위 20%에 대한 로열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또는 나머지 80%에 대한 디마케팅을 고려하는 등 마케팅 부문에서도 알게 모르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느날(2004.10) 갑자기 이렇게 소소하기에 무시당했던 80%의 니치들이 롱테일(Long Tail)이라는 신조어로 새로운 가치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롱테일이란 용어는 멱함수(Power Law)에서 꼬리 부분을 길다고 해서 붙혀진 단어로 이미 파레토 꼬리(Pareto Tail)로 불리워지고 있었지만 여기에 크리스 앤더슨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시키며 롱테일이란 이름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Wired, 2004.10)

롱테일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온라인이오프라인에 비해 재고, 유통비용이 적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서점은 한정된 매장 공간에 책을 진열해야 하기 때문에 잘 팔릴 만한 상위 20% 위주로 책을 전시하게된다. 물론 큰 서점은 상품구색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서적들을 손닿기 힘든 곳에 꽂아두지만 여전히 재고 및 유통비용은 커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온라인에서는 이런 비용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빛을 못 보던 책들이 오히려 유통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렇게 해서 아마존(Amazon)은 전체 매출의 50% 이상이 오프라인에서 판매되지 않는 책들이라고 한다.

아마존 외에도 이베이(eBay), 넷플릭스(Netflix) 등도 롱테일 케이스로 많이 언급되지만 이와는 다른 모습으로는 구글 애드센스(AdSense)도 많이 언급된다. 기존 대형 광고주 위주의 광고시장에서 기회를 못 보던 소형 광고주들에게 구글 애드센스는 저렴한 광고 기회를 제공받았고 결국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구글 애드센스는 구글 전체 매출의 50%를 이끌어주고 있다. 이렇듯 아마존이나 구글은 기존 원리대로라면 80%의 롱테일 영역의 매출기여가 20%여야 하는데 50%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것이다.

 

 

인터넷 소스(Source)는 지금도 수없이 많고 이 시간에도 수없이 많은 웹문서들이 생성되고 있다. 게다가 블로그와 디카로 인해 수많은 포스트와 덧글, 텍스트 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 등의 UCC들이 긴 꼬리를 잇고 있다. 분명 지금도 롱테일-긴 꼬리이지만, 앞으로는 더욱 길고 긴 꼬리가 된다는 점이 롱테일에 주목해야 되는 첫번째 사실이다.

하지만 롱테일의 가치는 꼬리가 길어지는 것만으로 해석되긴 힘들다. 이는 상품평 같은 알짜 UCC는 없이 상품구색만 갖추고 있는 속 빈 쇼핑몰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즉 롱테일이 가치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어느 수준으로 꼬리가 두꺼워져야 한다. 즉 긴 꼬리들이 주목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혀주고 긴 꼬리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주는 메커니즘이 롱테일의 가치를 발현시키는 두번째 사실이다.

기존에는 롱테일에 있는 좋은 정보를 상위에 꽂아 주는 행위를 많이 했다. 투데이멤버, 이오공감 등 일일 또는 월단위로 운영자에 의해 선발된 아티클은 나름 인기를 얻게 되지만 그 혜택은 여전히 극히 일부에 한정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더군다나 소스가 많아지면 이러한 기회는 더 적어지게 마련이고 자연히 모티베이션도 줄어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롱테일의 네트워크를 유지한 채 두께를 키우는 메커니즘(주목, 필터링)이 중요한 것이다. 그것의 인터페이스가 검색이든 미디어든간에. 예를 들어 위키피디아는 사용자의 참여로 무수히 많은 컨텐츠(UCC)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이들 컨텐츠들의 양 증가와 함꼐 질도 높아지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자면 롱테일은 앞으로 더 중요해지고 롱테일의 두께를 높일 수 있는 플랫폼과 알고리즘적 메커니즘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미디어의 경우 특히 매스미디어에 대한 욕구는 여전히 강할 것이고 상위(Head)영역과 롱테일(Long Tail) 영역이 서로 조화를 이룰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롱테일 영역에 대한 Duration Time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을 켜고 매스미디어형 기사 훓어보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결국 마이크로미디어형 아티클을 찾는 시간과 그것에 몰입해서 보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있단 얘기다. 개인화는 이미 유저들의 행동 패턴에 존재하고 있다.

출처 - 우리부서 윤성중 과장

'기타 잡동사니 >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키 구조 (Public Key Infrastructure)  (0) 2008.03.25
전자서명 (Digital Signature)  (3) 2008.03.25
UCC의 개념  (1) 2008.03.25
web2.0에 대하여  (0) 2008.03.25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0) 2008.03.25
Posted by
,